Day 1. 요구사항 정의, 과업범위+일정 수립
개요
일시장소 : 오전10시, 서울기록원 3층 교육실
참석 : 심수림(마을기록단 대표, 건축사무소 리얼랩 도시건축 실장/연구원) 안대진, 이기영, 송추향
안건 : 컨설팅 계획 논의
현황
조직 :
•
9명(허길수(초기대표,건축전공), 친환경디자인사무실운영, 기자출신주부, 인류학+공학전공마을연구자(마을연구자협동조합), 영상작업자, 양재열(심리학전공후IT개발+데이터분석))
사무공간: 필동(리얼랩: 설계.시공, 커뮤니티 디자인)
•
기획단: 80%는 마을에 있었던 분들, 귀촌하신 분도 있음, 현재 해방촌에는 1명. 2020년부터 <우리마을 기록단>으로 활동하며 각자 공간의 마을 기록화. 2기 멤버들이 기획단으로 지금까지 이어짐
•
수집단 : 해방촌 수집
•
해방촌 활동: 2012년부터 심수림 마을거주. 작은 커뮤니티공간 꾸리며 마을공부하며 마을기록 누적, 2014년 본격적 아카이빙 시작되어 2016년 키트 개발
문제
1.온라인 자료제공 어려움 —-> by 기록단
•
잦은 자료요청에 대용량 zip파일을 매번 제공하기 어려움
•
노션 홈페이지 적극활용: 최종 결과물 중심 제공 한계
•
현재 해방촌을 나와 다른 마을활동을 진행하고 있어, 해방촌 결과물을 정리?하고 싶음
2.기록화 방법론 학습 필요 ——> by 참여자
•
강의하다 보면 잦은 방법론 문의나 요청 있음
•
방법론을 넘어 용역(강의+기록활동가 교육워크숍+실행+운영) 형태의 일을 받기 시작함. 프로젝트의 시작과 끝을 소화할 수 있으면 좋겠음. 마지막 가공하는 작업이 매우 중요함.
◦
용인문화재단
▪
마을지원센터, 자치조직, 도시재생센터 정도에서 해왔는데 문화재단과 하다보니 인프라와 실무진의 의지가 남달랐
◦
안성공동체지원센터 공모사업 (은촌리)
▪
서포트로 시작했는데 주민들의 관심이 높아 어르신들의 옹기와 얽힌 부엌생활 등 기록화
▪
족보, 산신제 등 기록이 마을에 넘쳐남
◦
연탄사용가구 기록(서울, 2021)
◦
농촌지역 (더 경험해 보고 싶음)
◦
아파트 중심 단지 (경험해 보고 싶음)
•
일회성 방법론으로 만나기보다 같이 작업하는 느낌이 중요. 진행하다 보니 기록활동가나 기록화에 욕심이 나기도 함
•
우리가 만나는 마을이라도 양성된 기록가들이 서로 소통하고 공유하고 추후 동료들을 찾고 결과물을 볼 수 있는 장이 필요
•
마을기록화는 너무 많은데 어디서 결과물을 볼 수 있는지 모르겠음
•
자료를 제공한 후 어떻게 활용했는지도 공유했으면 좋겠음
•
나아갈 방향을 같이 모색하는 공간이 있었으면 좋겠다
•
웹에 공유하는 것보다 절차를 마련하는 것이 더 중요 (기록 이관, 멤버십, 저작권)
•
우리마을 기록단에 사람들이 참여하면 메리트가 무엇인지 불명확
해결
1.온라인 접근제공
11월에 본격 논의
•
지역이나 단체보다 개인이 드러나는 방식
•
결과물이 먼저 보이기보다 사람 중심으로 보여주기(노션의 사람 썸네일처럼 얼굴 클릭하면 활동을 보여주기)
•
개인들이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싶은 인센티브 필요. 나만의 공간 제공 등
•
기본개요 정도만 통일하고 사람마다 다양한 수준으로 자료 올리도록 했음
2.네트워킹
대의나 거시적 관점보다 당장 필요한 걸 하자
90%는 5회교육 등 짜여진 틀대로만 수행
나중에 가서 없어진 기록 붙잡고 네트워킹하자고 하지 말고 지금 당장 만나는 사람들이라도 제대로 하자
•
용인문화재단, 안성, 강의하며 긴밀했던 지역의 다른 팀들
최종 결과물은 우리가 만들어낸 경우도 있지만 그분들이나 지원조직에서 가지고 있기도 함
목표모델
•
활동 결과물들이 모이는 라이브러리
•
누가 어디서 어떤 작업을 했는지 알 수 있는 작업
•
시민들이 기록을 만들어내며 출처 등 맥락을 모으기 쉽지 않으나 중요한 원자료는 같이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 안성의 경우 현장에서는 그 마을자료가 왜 중요한지 모름. 이런 중요한 자료를 온라인에 보관해서 보여주면 다른 마을도 가치를 인식하고 우리 마을 자료도 보존하게 되는 선순환 효과
•
마을기록의 필요성과 중요성, 정체성 등 공적인 의미를 발견하고 이러한 가치가 공론화되도록 하고 싶음. 개인작업자들의 네트워크라기보다는 마을기록의 중요성을 공유하는 사람들의 네트워크였으면 함. 그래서 지도 작업을 한 것임. 개인을 드러내지만 궁극적으로는 마을 단위가 드러나야 함. 마을기록의 중요성
과업범위
과업 | 주차 | 날짜 | 내용 |
1.비저닝+DB구축 | 1주 | 9/26(월) 오전10:00 | 9/26 1회. 목표, 과업범위, 일정 협의 |
2주 | 10/7(금) 오후1시 | 10/7 2회. 자료검토, 정리방법 논의 | |
3주 | 10/17~21 | 10/21 3회. 자료검토, 과제정의, 노션메뉴구성 | |
4주 | 10/24~28 | ||
5주 | 10/31~11/4 | ||
2.플랫폼구축 | 6주 | 11/7~11 | 11/10 4회.네트워크비전문검토, 정리방법초안 |
7주 | 11/14~18 | ||
8주 | 11/21~25 | ||
9주 | 11/28~12/2 |
인프라
홈페이지(노션), 네이버 클라우드 (구성원의 절반만 사용), 카카오톡
일정
10/7(금) 오전10시30분, 2회모임, 필동 사무실
참고자료
참고링크
네트워크
•
영국 Community Archives and Heritage Group - https://www.communityarchives.org.uk/
•
캐나다 Archives Canada - http://www.archivescanada.ca/
•
영국 캠프리지셔 - https://www.ccan.co.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