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uplicate
🖍️

요구정의 + 학습

과제설명
프로젝트의 목표, 범위, 일정 수립. 구성원의 이해 증진을 위한 워크숍
KPI(핵심성과지표)
참여자/@lab/기록원 만족도(내부설문)
리더
참여자
진행상태
In progress
일정
2022/09/26 → 2022/10/21
구분
비저닝

Day 1. 요구사항 정의, 과업범위+일정 수립

개요

일시장소 : 오전10시, 서울기록원 3층 교육실
참석 : 심수림(마을기록단 대표, 건축사무소 리얼랩 도시건축 실장/연구원) 안대진, 이기영, 송추향
안건 : 컨설팅 계획 논의

현황

조직 :
9명(허길수(초기대표,건축전공), 친환경디자인사무실운영, 기자출신주부, 인류학+공학전공마을연구자(마을연구자협동조합), 영상작업자, 양재열(심리학전공후IT개발+데이터분석))
사무공간: 필동(리얼랩: 설계.시공, 커뮤니티 디자인)
기획단: 80%는 마을에 있었던 분들, 귀촌하신 분도 있음, 현재 해방촌에는 1명. 2020년부터 <우리마을 기록단>으로 활동하며 각자 공간의 마을 기록화. 2기 멤버들이 기획단으로 지금까지 이어짐
수집단 : 해방촌 수집
해방촌 활동: 2012년부터 심수림 마을거주. 작은 커뮤니티공간 꾸리며 마을공부하며 마을기록 누적, 2014년 본격적 아카이빙 시작되어 2016년 키트 개발

문제

1.온라인 자료제공 어려움 —-> by 기록단
잦은 자료요청에 대용량 zip파일을 매번 제공하기 어려움
노션 홈페이지 적극활용: 최종 결과물 중심 제공 한계
현재 해방촌을 나와 다른 마을활동을 진행하고 있어, 해방촌 결과물을 정리?하고 싶음
2.기록화 방법론 학습 필요 ——> by 참여자
강의하다 보면 잦은 방법론 문의나 요청 있음
방법론을 넘어 용역(강의+기록활동가 교육워크숍+실행+운영) 형태의 일을 받기 시작함. 프로젝트의 시작과 끝을 소화할 수 있으면 좋겠음. 마지막 가공하는 작업이 매우 중요함.
용인문화재단
마을지원센터, 자치조직, 도시재생센터 정도에서 해왔는데 문화재단과 하다보니 인프라와 실무진의 의지가 남달랐
안성공동체지원센터 공모사업 (은촌리)
서포트로 시작했는데 주민들의 관심이 높아 어르신들의 옹기와 얽힌 부엌생활 등 기록화
족보, 산신제 등 기록이 마을에 넘쳐남
연탄사용가구 기록(서울, 2021)
농촌지역 (더 경험해 보고 싶음)
아파트 중심 단지 (경험해 보고 싶음)
일회성 방법론으로 만나기보다 같이 작업하는 느낌이 중요. 진행하다 보니 기록활동가나 기록화에 욕심이 나기도 함
우리가 만나는 마을이라도 양성된 기록가들이 서로 소통하고 공유하고 추후 동료들을 찾고 결과물을 볼 수 있는 장이 필요
마을기록화는 너무 많은데 어디서 결과물을 볼 수 있는지 모르겠음
자료를 제공한 후 어떻게 활용했는지도 공유했으면 좋겠음
나아갈 방향을 같이 모색하는 공간이 있었으면 좋겠다
웹에 공유하는 것보다 절차를 마련하는 것이 더 중요 (기록 이관, 멤버십, 저작권)
우리마을 기록단에 사람들이 참여하면 메리트가 무엇인지 불명확

해결

1.온라인 접근제공
11월에 본격 논의
지역이나 단체보다 개인이 드러나는 방식
결과물이 먼저 보이기보다 사람 중심으로 보여주기(노션의 사람 썸네일처럼 얼굴 클릭하면 활동을 보여주기)
개인들이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싶은 인센티브 필요. 나만의 공간 제공 등
기본개요 정도만 통일하고 사람마다 다양한 수준으로 자료 올리도록 했음
2.네트워킹
대의나 거시적 관점보다 당장 필요한 걸 하자
90%는 5회교육 등 짜여진 틀대로만 수행
나중에 가서 없어진 기록 붙잡고 네트워킹하자고 하지 말고 지금 당장 만나는 사람들이라도 제대로 하자
용인문화재단, 안성, 강의하며 긴밀했던 지역의 다른 팀들
최종 결과물은 우리가 만들어낸 경우도 있지만 그분들이나 지원조직에서 가지고 있기도 함
목표모델
활동 결과물들이 모이는 라이브러리
누가 어디서 어떤 작업을 했는지 알 수 있는 작업
시민들이 기록을 만들어내며 출처 등 맥락을 모으기 쉽지 않으나 중요한 원자료는 같이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 안성의 경우 현장에서는 그 마을자료가 왜 중요한지 모름. 이런 중요한 자료를 온라인에 보관해서 보여주면 다른 마을도 가치를 인식하고 우리 마을 자료도 보존하게 되는 선순환 효과
마을기록의 필요성과 중요성, 정체성 등 공적인 의미를 발견하고 이러한 가치가 공론화되도록 하고 싶음. 개인작업자들의 네트워크라기보다는 마을기록의 중요성을 공유하는 사람들의 네트워크였으면 함. 그래서 지도 작업을 한 것임. 개인을 드러내지만 궁극적으로는 마을 단위가 드러나야 함. 마을기록의 중요성

과업범위

과업
주차
날짜
내용
1.비저닝+DB구축
1주
9/26(월) 오전10:00
9/26 1회. 목표, 과업범위, 일정 협의
2주
10/7(금) 오후1시
10/7 2회. 자료검토, 정리방법 논의
3주
10/17~21
10/21 3회. 자료검토, 과제정의, 노션메뉴구성
4주
10/24~28
5주
10/31~11/4
2.플랫폼구축
6주
11/7~11
11/10 4회.네트워크비전문검토, 정리방법초안
7주
11/14~18
8주
11/21~25
9주
11/28~12/2

인프라

홈페이지(노션), 네이버 클라우드 (구성원의 절반만 사용), 카카오톡

일정

10/7(금) 오전10시30분, 2회모임, 필동 사무실

참고자료

22년_하계학술대회_자료집.pdf
7726.5KB
박사학위논문_콤마넷발췌.pdf
858.4KB

참고링크

네트워크

영국 Community Archives and Heritage Group - https://www.communityarchives.org.uk/
캐나다 Archives Canada - http://www.archivescanada.ca/
영국 캠프리지셔 - https://www.ccan.co.uk/